'건축 & 인테리어 지식'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05.12.24 마루의 종류
  2. 2005.09.26 조명의 종류
  3. 2005.08.30 Style 모음
  4. 2005.07.06 인테리어 관련 유용한 사이트 2
  5. 2005.04.09 철골과 콘크리트
건축 & 인테리어 지식2005. 12. 24. 19:31

[1] 원목마루 (Strip Flooring)


건조된 원목을 소정의 규격대로 재단하여 만든 제품으로 학교 복도와 교실 바닥재 또는 대청마루와 같이 바닥난방이 되지 않는 주택의 거실 바닥재로 많이 사용 됨




[2] 원목집성마루 (Laminated WoodFlooring)


집성마루는 2겹(2~7)이상의 원목층이 접착제로 결합되어 만들어지며, 표면 단판 (Top Layer 또는 Outer Layer) 두께 2~5m/m의 미려하고 단단한 나무(예 Oak, Maple)로 되어있고 내부 목재 (Inner core 또는 Sub layer)는 나왕 또는 미송 종류의 원목이 합판형태로 접착되고 뒷면(Sub Layer)은 폭 방향과 평형되게 칼금 (2m/m 정도 홈)을 주어 시공시 작업이 용이하고 양호한 접착상태가 될 수 있게 해주며, 마루의 팽창과 수축을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있다.


마감 


표면단판 위 마감은 대개 U.V제가 첨가된 아크릴 계통의 도장을 3 - 7회 정도 되어있다.

특성 


집성마루는 일반원목 마루보다 미려한외관과, 내오염성, 내마모성, 적은 변형률이 좋은 반면 가격이 다소 비싸다. 표면단판재가 두꺼우면 변형이 클 염려가 있지만 사용도중 샌딩과 칠을 여러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공


용도에 따라서는 Flooring 밑면에 쿳션재가 붙어있는 경우도 있고, 현가식(Floating) 공법으로 시공 할 때는 바닥면에서 2m/m 발포 쿳션재를 깔고 시공한다. 

바닥면이 고르고 건조가 잘 되어있을 경우 Epoxy 접착제를 바닥에 도포하고 마루를 직접 붙여 시공하며, 마루의 팽창과 수축을 어느정도 잡아주므로, 마루를 직접 붙여 시공하며, 마루의 팽창과 수축을 어느정도 잡아주므로, 마루를 밟을 때 나는 소음이나 출렁임을 막을 수 있다




[3] 합판마루 (Flywood Flooring)


구조


합판을 코아재로 사용한 마루재로 플라이 합판층과 표면 단판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제품에 따라 5-7겹의 1급 내수합판 위에, 표면은 주로 무늬 단판을 접착하고 도장을하며,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core 및 back verneer에 칼금을 주어, 접착 작업성을 도와주고 변형을 잡아 주는 구조이다. 


합판마루의 표면단판은 원목마루보다 얇은 0.5-2mm의 두께로, 플라이 합판층에 부착되는제조회사마다 단판이 열이나 일광에 갈라지지 않도록 강화처리를 하거나 내마모제와 U.V제가 첨가된 우레탄 계통의 도장처리를 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각 사별 제품의 특징은 거의 이 부분에서 좌우된다

시공은 에폭시본드를 사용하여 바닥면(下地)에 직접 붙이는 접착식공법이 주로 이용된다.

또한 합판마루는 제품에 따라 마루재의 바닥면에 쿠션패드가 붙어있는 경우가 있다. 


장단점


합판마루는 기층이 1급 내수합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수분이나 열에의한 변형이 덜하고 열전도율이 좋고 천연적인 자연미로 가장 많이 보급되는 편이지만, 표면이 강하지 못하고 변퇴색 등 무늬단판 표면의 도장한계로 바닥재로서의 기능이 떨어지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합판마루는 원목에 비해 습도조절력이 떨어지고 주로 마루와 마루가 맞닿는 부분은 v자 형태로 생산되, 시공시 홈이 마루길이에 따라 보이는 단점이 있다.




[4] 강화마루 (Laminated Flooring)


구조


삭편판(PB) 또는 목재의 섬유질을 분리하며 내수, 내염수지를 첨가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 성형시킨 특수 H.D.F(High Pressure Melamine)나 MDF에 HPL 이나 LPL을 표면판으로 접착시킨 제품을 말한다. 표면이 강화됭 강화마루라고도 하며, 유지관리가 쉬운 편이다.


강화마루는 원목마루나 합판마루의 표면보다 내마모성이나 내구성이 좋아 표면의 손상이 적고,

다양한 색상의 연출이 가능하며 무거운 가구를 올려놓거나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상업공간에 실용적이다. 


다른제품에 비해, 습도조절능력이 떨어지고, 변형시 복원력이 약한 것이 단점이며 표면이 화학제품이라는데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 주거공간에는 널리 쓰이지 않음

디자인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전사지(Decorative paper)의 한계상 원목과 무늬 단판에 비해 목재 질감이 떨어진다. 시공은 얇은 두께 (5-6m/m)임에도 불구하고 복합재 구조로 되어 있어 현가식으로 시공한다. (습기로 인한 수축 팽창을 감안)



'건축 & 인테리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의 종류  (0) 2005.09.26
Style 모음  (0) 2005.08.30
인테리어 관련 유용한 사이트  (2) 2005.07.06
철골과 콘크리트  (0) 2005.04.09
Posted by 나데로

간접조명(Indirect Lighting)의 종류 및 조명방식


1. 광천정조명(Louver Lighting)

건물 자체에 조명기구와 광원(光源)을 매입시켜 건물 내장재의 표면반사에 의해 조명하는 건축화조명의 일종이다. 천장에 루버(louver)를 설치하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이며, 루버천장조명이라고도 한다.


2. 밸런스조명(Valance Lighting)

밸런스(Valance)의 원래의 뜻은 커튼 상부의 파이프를 가리기 위해커튼상부에 달아매는 천을 말한다. 이것을 조명화 시켜서 천이 아닌 박스나 패널등으로 제작해 커튼 상부에 달아매고 그 뒷면에서 조명을 설치해서 벽체를 간접으로 비추는 조명방식이 바로 밸런스 조명이다.

이것을 응용해서 커튼이 아닌 벽면의 들어간 부분의 측면이나 상부면에서 조명 빛이 나오는 방식으로 활용을 하기도 한다.


3. 코니스조명 (Cornice Lighting)
코니스(Cornice)는 서양식 건축물의 외벽면 상부의 장식적 기능의 돌림띠를 말한다.

마치 실내공간에서 상부에 장식몰딩을 돌리듯이 건축물의 외형을 장식하기 위해 돌리는 몰딩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것이 실내공간에서도 하나의 장식요소로 적용되어 서양식 실내장식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요소이다.

약간 돌출된 코니스의 뒷면이나 윗면에 조명을 감추고 상부로 빛이 나오게 설치하는 조명효과를 주는 방식을 말한다. (밸런스 방식과 조명 빛의 방향이 정반대이다.)


4. 코브조명 (Cove Lighting)
코브(Cove) 는 서양식 아치형 천정부를 말한다. 즉 곡면구조의 상부천정면에 간접적으로 광원을 비추는 방식을 코브 조명이라 한다. 이것을 응용해서 천정부에서 몰딩이나 선반 혹은 수평면이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숨겨진 광원으로부터 오는 조명을 코브조명이라 총괄하여 말한다. 조명빛은 벽의 상부와 천정면에 분포된다.


5. 월워싱조명 (Wall Washing Lighting)

천정에 부착된 조명기구에서 벽체 상부에서 하부로 물 흐르듯이 조명빛이 벽체면을 씻어내리는 방식으로 벽체를 빛으로 씻어내린다는 의미의 조명방식이다. 빛은 벽체면을 타고 흘러내린다.



1. Louver Lighting

가장 기본적인 루버라이팅 방식으로 건축화 조명의 대표적인 방식

돌출형 루버라이팅 방식. 패널이 천정면에서 돌출되어 조형적인 매스를 주고있다.


좀더 조형적인 부분을 강조한 루버라이팅 방식과 코브라이팅의 결합으로 상부의 직선부분의

간접조명이 코브라이팅 하부의 원형부분이 루버라이팅이다.





좀더 감각적인 형태의 코브라이팅 으로 노출형 천정의 일부분을 유리로 고정하고 그 상부에 조명을 설치한 응용예이다.



2. Valance Lighting



여러가지의 조명방식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응용예이다.

첫째로 상부 천정면을 비추는 조명은 코브라이팅 방식이고, 두번째로 전면부의 이미지월 좌우측 날개벽에서 나오는 조명은 밸런스라이팅 의 응용이고.

세번재로 좌우측 벽면 상단의 할로겐 조명은 벽을 쓸어 내리는 월워싱라이팅 방식이다.



전형적인 밸런스 라이팅의 예...

커튼 상부의 파이프 봉을 가리기 위한 천이 밸런스이다.

그것을 조명화 시킨것이 밸런스 라이팅이며 위의 사진은 가장 대표적인 밸런스 라이팅의 사례이다.



밸런스 라이팅의 응용 사례이다...

커튼이 아닌 벽체의 부분을 움푹 들어가게 만든후 그 상부에 밸런스 라이팅을 적용시킨 예



측면으로 빛을 비추는밸런스 조명방식의 응용 예



3.Cornice Lighting




코니스 조명과 밸런스 조명의 응용예...

상부로 비치는 빛은 코니스 조명방식을 응용하였고

하부로 비치는 빛은 밸런스 조명방식을 응용한 두가지 방식을 조합하였다



현대적인 감각의 코니스 조명방식의 예...

파란색 게이트 상부(코니스라 볼수있는 부분)에 조명을 설치하고 천정및 벽체 상부에

빛이 비추도록 연출하였다.



4.Cove Lighting







코브라이팅의 기본적인 형태...
주택의 거실이나 상업공간에서 천정 상부의 간접조명 방식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코브라이팅 방식이다.


코브라이팅의 응용 사례 천정과 천정 사이에 보를 지나가게 만들고 그 위에
조명을 넣어 응용을 하였다.


5. Wall Washing Lighting


천정에서 아래로 벽면을 쓸어내리듯이 비추는 월워싱 기법의 조명방식의 예


'건축 & 인테리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의 종류  (0) 2005.12.24
Style 모음  (0) 2005.08.30
인테리어 관련 유용한 사이트  (2) 2005.07.06
철골과 콘크리트  (0) 2005.04.09
Posted by 나데로

Country Style


1. 농가적, 목가적인 것으로 도회적인 이미지 탈피
2. 지방적 특성이 표현된 스타일
3. 자연스럽고 편안한 요소의 재료, 색채로 구성
4. 소박한 분위기의 컨셉



Junk Style


1. 버려진 소비재를 오브제로 구체화
2. 주관적인 재생산,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미적 가치 창출
3. 환경문제와 더불어 관심 증폭



Kitch Style


1. 고급문화를 풍자, 과시적으로 부적절하게 모방하는 저급의 대중적인 스타일
2. 향수나 대리만족등의 감성을 자극
3. 조악한 감각으로 표현



Nude Style


1. 재료의 투명성, 물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원천적인 느낌을 전달
2. 가공을 거치지 않은 자연적 소재
3. 첨단의 소재가 투명한 소재를 통하여 공개되는 디자인



Zen Style


1. 동양적인 선의 미학
2. 절제된 아름다움과 여백의 미를 담백한 이미지로 표현
3. 역설적 비움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절제'라는 컨셉
4. 정신적 편안함, 자연적 소재 및 색채, 질감 선호
5. 정적인 선을 강조하는 디자인 형태
6. 좌식 위주의 동양적인 경향



Dandy Style


1. 남성적이며 지적인 분위기 연출
2. 세련되고 간결하며 깊은 색채와 고급소재 사용
3. 장년층 이상 중년층의 연령에서 선호


Elegance Style


1. 클래식의 감성을 지닌 단아하고 격식있는 이미지
2. 부드러운 색채와 고급스럽게 정돈된 패턴 및 소재 사용
3. 고품격, 여성 취향적 스타일



Hi- tech Style


1. 진보된 기술력과 소재, 공법이 투입된 것으로 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미학 표현
2. 기능적이면서도 미래 지향적인 컨셉
3. 디지털, 반도체, 첨단의 금속재료나 투명성,광택이 강조된 신소재
4. 사이버틱한 분위기



Minimal Style


1. 물성의 본질을 추구하는 절제된 디자인과 세련된 압축미가 특징
2. 단순화에 의한 반복 및 순수를 추구하는 스타일
3. 스틸이나 첨단적 소재 사용
4. 단순화된 여백의 공간감을 추구



Modern Style


1. 전통적이며 역사적인 영향을 배재하고 가능과 합리성 위주

2. 단순, 명쾌한 형태의 일정한 경향을 지닌 스타일

3. 비례와 조형성, 기하학적 구성이 특징

4. 도시적, 합리적, 진보적, 절제, 날카로움, 차가움의 이미지

5. 중성적인 흑백의 기본 색에 모노톤이나 강렬한 삼원색이 악센트 컬러의 역할

6. 장식적이지 않은 간결하고 단순한 디자인



Casual Style


1.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경쾌함이 포인트

2. 원색이나 파스텔 톤의 밝고 경쾌한 색을 과감히 사용

3. 선호층 연령적으로 다소 제한적

4. 어린이나 젊은 층의 공간에서 선호

5. 샤프하면서도 인간미가 넘치는 시티 인테리어(City Interior)가 여기에 해당



Antique Style


1. '골동품'이라는 의미로 해석.

2. 사연, 시간을 품고 오랜 세월에 노출된 흔적이 포인트. 



Classic Style


1. 유럽의 근세에 이르기까지 조형적으로 정형을 갖춘 고전적 양식

2. 고대부터 19세기 박토리안까지의 양식이 통칭

3. 그리스나 로마 양식에 근간을 둠

4. 격식을 차린 포멀(formal)한 느낌

5. 옛것에 대한 향수와 귀족적 신분 표현


'건축 & 인테리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의 종류  (0) 2005.12.24
조명의 종류  (0) 2005.09.26
인테리어 관련 유용한 사이트  (2) 2005.07.06
철골과 콘크리트  (0) 2005.04.09
Posted by 나데로

* DIY 관련사이트

손잡이닷컴 http://www.sonjabee.com/ 손잡이나 선반판매
리빙시티 http://www.livingct.com/ 생활교양코너의 유료홈패션동영상(홈샘님직강)
삼화 페인트 http://www.djpi.co.kr/
쿨칼라 http://coolcolor.co.kr/ 페인트 판매
굳씽크 http://www.good-think.co.kr/씨트지판매
반쪽이쩜넷 http://www.banzzogi.net/
철천지 http://www.77g.com/
페인트클럽 http://www.paintclub.co.kr/
theDIY(즐거운diy세상) http://www.thediy.co.kr/ 철물,목재절단판매,3M스프레이판매
마이드림하우스 http://www.mydreamhouse.co.kr/ 패널벽,리폼,재활용정보와 철망,선반,몰딩판매
뚝딱이네 http://ddukddak.com/doc/frame2.htm 옷 홈패션 십자수 인형옷강의
박미영의홈데코 http://my.dreamwiz.com/decohome/mainp.html 홈패션강의
굿퀼트 http://www.goodquilt.com/frame_main.htm
퀼트나라 http://www.quiltnala.com/
한국공예인협회 http://hdarts.co.kr 퀼트,스텐실
금성스폰지 http://www.ks-sponge.co.kr/ 스폰지재단하여 판매
알파문구 http://www.alphastationery.co.kr/ 각종접착제, 문구용품
한국건축자재협회 http://www.kbmshopping.com 건축자재사이트
철물백화점 http://www.chulmool.biz
did벽지 http://www.didwallpaper.com/


* 원단및 레이스, 부자재

화이트패브릭 http://www.whitefabric.com/
레이스나라 http://www.lacenara.co.kr/
천나라닷컴 http://1000nara.com/
싸다천 http://ssada1000.com/v2/
더싸다 http://www.thessada.com/
소잉박스 http://www.sewingbox.net/
데코랜드http://my.dreamwiz.com/decohome/mainp.html원단,레이스,태슬,커버링
천모아 http://www.1000moa.com/
슈리본 http://www.sueribbon.co.kr/ 수입리본재료,선물포장재료판매

* 인테리어 소품판매

화이트홈 http://www.whitehomes.co.kr
프리티홈 http://www.prettydeco.com/
데미스타일 http://www.demistyle.com
쉬크홈 http://www.chichome.co.kr/
바닐라스푼 http://www.vanillaspoon.com/
라라데코 http://www.laladeco.com/
원룸데코 http://www.oneroomdeco.com/ 독신자타겟 패브릭,소품
로즈앤핑크 http://www.rosenpink.com/ 인테리어 소품
앤스홈 http://annshome.co.kr/ 맞춤패브릭 전문
풍경 http://www.pksopum.com/
프로방스 http://www.provence.co.kr/ 프로방스풍 그릇과 가구
인플로라 http://www.in-flora.co.kr/
슈가홈 http://sugarhome.com/
포룸 http://www.forroom.com/
머쉬룸 http://www.mushroomdeco.co.kr/
햄마 http://www.hemma.co.kr/ 이케야제품판매
핑크데코 http://pinkdeco.co.kr/
미세스델러웨이 http://www.mrsdalloway.co.kr/
로즈마리 http://www.rosemarihome.com/
바인홈http://www.vinehome.co.kr/
두산오토 http://www.otto.co.kr/
씨씨브랜드 http://www.ccbrand.co.kr/
필데코 http://www.feeldeco.com/
프롬데코 http://www.fromdeco.com/
인플로라 http://www.in-flora.co.kr/
포홈 http://www.forhome.co.kr/
스위트베리 http://www.sweet-berry.com/index.htm 장식접시와 쿠션등등
소품채널 http://sofum.co.kr/
디피존 http://www.dpzone.co.kr/화이트철재&원목등 상업공간인테리어소품
인파스텔 http://www.inpastel.co.kr/ 키즈가구,침구,커튼
소품샵 http://www.sofumshop.co.kr/인테리어소품, 선물샵
디자인마노 http://www.designmano.co.kr/
앤틱하우스 http://www.antichouse.co.kr/
아름다운방 http://www.beauty-room.net/ 침구커텐 홈인테리어
담너머예쁜집 http://www.damzip.com
제이홈 http://www.jhomes.co.kr/
로맨틱홈 http://www.romantic-home.com/

* 가구관련

씨리디자인쇼파 http://www.seelee.co.kr
한샘 http://www.hanssem.com/
까사미아 http://www.casamia.co.kr/
올리브데코 http://www.olivedeco.co.kr/
프란시아 http://www.francia.co.kr/
디자인얀 http://www.oyan.co.kr/
에프룸 http://www.f-room.com/ (공사중)인테리어코디네이터 최선희의 사이트
디자인앤 http://www.designann.com
리빙트리 http://www.livingtree.co.kr/
대송가구 http://www.daesongmall.com/
리빙디자인넷 http://www.livingdesign.net/
제니아하우스 http://www.zeniahouse.com/profile/


* DIY, 맞춤가구

내가디자인하고내가만드는가구 http://www.my-diy.co.kr/
정크가구 http://www.junkstyle.co.kr/
상상나무 http://www.interior911.co.kr/


* 정원용품 판매

쉐르보네 http://www.cherbonheur.com/ 야외 정원용품판매,목재맞춤절단판매
브라이덜가이드 http://www.bridalguide.co.kr/ 다양한 조화판매
조은자리 http://www.jounjary.co.kr/


* 해외인테리어사이트

로라애슐리 http://www.laura-ashley.com/
마샤스튜어트 http://www.marthastewart.com/
쉭새크http://chicshack.net/
유로데코 http://www.eurodecony.com/ 한인조각가 최린의 조각인테리어소품사이트


* 해외구매대행 사이트

맘앤키즈 http://www.momandkids.co.kr/ 로라애슐리침구나 장식접시, 샤워커튼등 수입대행
까사까사 http://www.casacasa.co.kr/ 해외 주방용품


* 월간인테리어잡지

레이디경향 http://www.khan.co.kr/
리빙센스 http://livingsense.ismg.co.kr/
여성동아 http://women.donga.com/
팟찌닷컴 http://www.patzzi.com/
까사리빙 http://www.casa.co.kr/home/
행복이가득한 집 http://www.design.co.kr/
우먼센스 http://womansense.ismg.co.kr/womansense/index.php


* 미싱판매

썬마트 http://www.sunmart.co.kr/
부라더미싱 http://www.brother-shop.co.kr/ 


* 대표 로드샵

2001아울렛
이마트
홈플러스
코즈니
전망좋은방(룸앤데코) http://www.room-deco.co.kr/


* 원예 사이트
새싹닷컴 http://saesak.com/식충식물,허브,관엽등에대한 질문답변,판매
플랜트플러스 http://www.plantplus.co.kr/


* 기타 데코플라자를 통하면좋은사이트

노니포유 http://www.noni4u.co.kr/ 직수입 석류,노니관련제품, 건강제품
웹딱 http://www.webddak.co.kr/ 감각디자인소품 선물용품



'건축 & 인테리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의 종류  (0) 2005.12.24
조명의 종류  (0) 2005.09.26
Style 모음  (0) 2005.08.30
철골과 콘크리트  (0) 2005.04.09
Posted by 나데로


철골과 콘크리트



‘철골건물과 콘크리트 건물을 동시에 지으면 어느 것을 빨리 지을 수 있나?’ 하고 물으면 대부분의 기술자들은 ‘철근콘크리트 건물보다 철골건물(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건물)을 훨씬 빨리 지을 수 있다’라고 대답한다. 학생이건 현장에서 일하는 실무자이건 간에 심지어는 경험이 아주 많은 시공기술자들도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물음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경우에 따라서 콘크리트건물이 빠를 수도 있다’이다.

또 한 가지 질문은 ‘철골건물과 콘크리트건물 중 어느 것이 지진에 강한가?’라는 것으로서 이 물음에도 역시 대답은 대부분 철골건물일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경험이 많은 기술자들도 가지고 있는데 최근의 고급아파트 분양광고에 ‘콘크리트건물에 비하여 내진성능이 우수한 철골철근콘크리트건물 등’을 운운하는 문구가 있을 정도로 일반상식화되어 있다. 그렇다보니 건축에 문외한인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건설기술자들까지도 ‘철골건물은 고급건물이고, 내진성능이 우수하다’라고까지 생각하고 있지만 여기에 대하여 차근차근 짚어보기로 하자.



먼저 철골건물이 콘크리트건물에 비하여 시공속도가 빠른가 하는 문제로서 이 문제를 생각하기 전에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과 저항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짚어보자. 일반적인 고층사무실 건축물의 예를 들어 힘의 흐름을 생각한다면 축하중(Gravity Force)의 경우는 바닥슬래브에서 보(Beam & Girder)를 따라 기둥으로 전달되어 기초에 도달하고 횡하중(Lateral Force)의 경우 우선 풍하중은 외벽에서 바닥슬래브를 따라 코어(Core)와 기둥과 보의 라멘구조부분에 전달되어 코어와 라멘구조가 지지해주고 지진파가 건축물에 작용할 때는 횡하중에 대하여 라멘구조와 코어부분이 분담하여 저항한다.

이러한 구조방식이 보편적인 고층건축물의 구조방식으로서 초고층 건물일 경우 튜브구조(Tubular System)를 채택하기도 하고 초고층이 아니라면 철골라멘조(코어가 없이 기둥, 보, 슬래브의 철골라멘구조가 횡하중에 저항하는 방식)로 시공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구조는 코어벽체구조이다. 즉 초고층 건축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층건축물은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건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로 설계하건 횡력에 저항하는 방식이 전반적으로 코어와 라멘이 횡력을 분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의 공사기간을 생각해 보자. 코어벽체구조의 건축물은 구조재료가 철골이던지 콘크리트이던지 간에 골조공사의 공기는 바닥이나 보의 시공기간이 아닌 코어의 시공기간이 기준이 된다. 왜냐하면 코어 부분은 골조공사에서 가장 까다로운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샤프트와 같이 복잡한 구조가 많기 때문에 기둥이나 보의 골조보다 공사물량이 적다하더라도 일은 훨씬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코어구조방식으로 설계된 철골건물과 콘크리트건물의 골조공사기간을 비교해 보면 실제로 철골건물의 공사기간이 더 길어진다. 콘크리트건물의 경우에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골조공사가 완료되지만 철골건물에는 철골공정이 있으므로 철골조립이 아무리 빨리 진행되더라도 코어가 완료되지 않으면 후속공정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철골건물은 건물의 뼈대(철골)가 하루게 다르게 위로 올라가므로 철골건물의 골조공사도 훨씬 빠르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세히 보면 한참 아래에서 기둥거푸집과 코어거푸집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어떤 분들은 코어는 천천히 시공하고 슬래브만 먼저 콘크리트타설해서 올라가면 된다고 할지 모르지만 사실 철골로 짓는 건물은 외벽과 코어의 작업량이 가장 많다.


엘리베이터, 화장실, 공조실 등 가장 복잡한 공정이 코어 부분에 몰려 있으므로 코어가 시공되지 않으면 결코 건물을 빨리 완성할 수 없는 것이다. 반면에 콘크리트조로 건물을 지으면서도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예는 미국과 유럽 등에 그 기록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우리의 시공기록과 비교해 볼 때 상상을 초월하는 사례를 든다면 ‘60층 정도의 고층아파트 건물을 12개월에, 60층 오피스건물을 24개월에 토공사에서 입주까지’하는 등 그 사례도 매우 많고 한동안 세계 최고층건물이었던 102층의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이 1930년대에 14개월 미만의 공기로 지어진 정도이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할 때 철골조의 건물이 콘크리트건물에 비하여 공기가 단축된다는 것은 철골조립의 진행상황만을 보는 시각에 기인하며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철골건물이 콘크리트건물보다 빨리 시공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설계되는 구조이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앞서 말한 코어방식의 철골건물이 콘크리트건물에 비하여 결코 빠를 수 없다고 했는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코어벽체 없이도 횡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시공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코어벽체가 없는 건물은 다른 부분이 코어의 기능, 즉 횡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해야 하는데 그 대안으로서 철골기둥과 거더가 강접합(Moment Connection)으로 연결되어 이것만으로 횡력에 버티는 방식이면 될 것이다.

이 경우는 철골부재의 조립이 진행되는 속도에 따라 바닥슬래브의 콘크리트만 타설하면 되므로 철골 조립속도를 매 층당 3일에서 4일정도(철골 1절당 10일 내외)로 가정한다면 이론상으로는 이 속도로 골조공사를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초고층건물에서는 불안정한 구조물이 될 것이고 기둥과 거더 등의 부재단면이 매우 커지므로 비경제적인 구조설계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철골구조 내에 철골로서 콘크리트코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체를 설치하여 이 구조체가 횡력에 저항하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던 두 가지의 물음 중 다른 하나로서 과연 철골건물이 콘크리트에 비하여 지진에 더 안전한 건물인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하자.

건축물이 지진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법은 내진이라는 방법과 면진이라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지진에 대하여 건축물이 강하게 버티는 방법이고 후자는 지진이 건축물에 미치는 충격을 줄이는 방법이다. 두 가지 방법 중에 어는 것이 효과적인가 또는 우수한가 하는 것은 아직 검증된 것은 없지만 내진구조는 오래 전부터 적용해 왔던 방법이고 면진구조는 비교적 최근에 일본을 중심으로 개발.적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내진구조는 철골건물이건 콘크리트이건 모든 건축물에 채택될 수 있고, 면진구조는 방식의 특성상 철골건물에 적용할 때 유리한 구조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반적으로 콘크리트건물이나 철골건물에 내진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십 수년 전부터 고층건축물의 내진구조설계가 의무화 되어 있어서 콘크리트건물도 지진에 안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진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은 건물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커지므로 콘크리트건물이 철골건물에 비하여 골조구조체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철골건물보다는 지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 전체의 중량으로 볼 때 반드시 콘크리트건물이 무겁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건물내 칸막이벽 재료의 종류, 바닥마감공법 등과 같은 마감공사의 공법과 재질에 따라 건물의 자중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진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조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것도 좋지만 경량재료의 사용, 마감공법의 건식화, 마감공사의 단순화 등의 방법을 취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건물의 골조자중을 더욱 줄인다면 콘크리트건물도 철골건물에 비하여 가벼워질 수도 있다. 그 방법으로는 먼저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대시켜 기둥과 벽체의 단면크기를 줄일 수 있고, 기둥은 콘크리트로 시공하되 거더나 보는 철골과 콘크리트를 합성한 복합구조를 채택한다면 가능하리라고 본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편견, 즉 철골건물이 콘크리트건물에 비해 지진에 안전하다라는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그 사례로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미국 동부지역에서는 초고층건물이 철근콘크리트조로 시공되는 사례가 매우 흔하다. 그리고 현재까지 지어진 건물들의 지진피해를 볼 때 사실 철골구조라 해서 그리고 철근콘크리트건물이라 해서 지진발생시 피해의 적고 많음에 관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왜 철골건물이 너무 쉽게 지어지는가!
사실 20층 정도되는 건물을 철골조로 시공하는 나라는 미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철골재료비가 싸고 우리나라에는 세계적인 수준의 생산성과 원가경쟁력을 보유한 P제철이라는 회사가 있기에 이와 같은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수년 전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현장에서 근무할 당시 그곳에는 초고층건축붐이 한창이었는데 당시에 필자가 근무했던 현장의 60층 오피스건축물도 콘크리트건물이었고, 현재 세계 최고높이의 건축물인 KLCC빌딩도 당연히 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이다. 일부 보의 스팬을 크게 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철골보를 사용하기는 했지만 말이다.


그리고 그곳에서 일하는 2년 남짓한 기간 동안 주변에서 지어진 많은 초고층 건물에 철골이 사용된 곳을 단 한번도 본적이 없다. 물론 지진이 없는 곳이라서 내진설계에 관한 기준이 우리나라보다는 느슨하지만 이러한 초고층건축물에는 풍하중이 지진보다 더 크게 작용하므로 건축물을 약하게 설계했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은 말레이시아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싱가포르, 태국, 홍콩 등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이나 유럽은 어떠한가. 최근 선진국에서 초고층 건축물의 신축현장을 찾아보기가 힘들어졌지만 초고층건축물의 신축이 한창일 때도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철골조를 도입하지 않았다. 가능하다면 콘크리트조의 건물을 많이 지었다고 할 수 있다.
이유는 철골값이 콘크리트보다는 비싸기 때문이며, 철골은 화재에 약하고 바람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매우 커서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진동을 느낄 정도의 단점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건물에 비하여 비싸고 구조적으로도 특별히 탁월하다 할 수도 없는데, 우리나라에서 철골건물이 흔하게 지어지는 이유는 건축주를 비롯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철골로 지어야 비싼 건물이고 콘크리트건물은 싸구려라는 생각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다른 나라에 비하여 콘크리트에 대한 기술개발이 부진하고, 고강도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데 매우 부정적이다. 다른 나라는 500kg/cm2정도의 콘크리트를 아무런 부담없이 사용하는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300kg/cm2만 넘어가도 심의를 통과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제부터 건축시공기술자들만이라도 콘크리트건물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최소항 ‘철골건물=고급건물, 튼튼한 건물’이라는 생각은 버리도록 하자.


출처 : 건축, 사람과 현장/이경섭/기문당



'건축 & 인테리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루의 종류  (0) 2005.12.24
조명의 종류  (0) 2005.09.26
Style 모음  (0) 2005.08.30
인테리어 관련 유용한 사이트  (2) 2005.07.06
Posted by 나데로